Common Sense
주민세 인터넷으로 납부하기 (위택스 이용)
우체통에 못보던 고지서가 보인다.고지서에는 ‘주민세(개인균등분)’ 라고 써 있다.아.. 또 세금.. ㅡㅡ;;다행이다.고지서를 열어보니 내야 할 돈이 6천원 밖에 안된다. ^^*바로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켜고 위택스로 접속했다.위택스에 처음 들어가면 볼 수 있는 화면이다.위택스로 세금을 납부하려면 먼저 인터넷지로 사이트(www.giro.or.kr)에 가입이 되어 있어야 한다.회원가입을 모두 마쳤으면 회원접속(공인인증서)를 클릭한다.회원접속 버튼을 누르면 공인인증서 암호 입력화면이 나온다.본인의 인증서 암호를 입력하면 다시 처음 페이지로 넘어간다.처음페이지 가운데에 보면 ‘납부하기’ 버튼이 있다.‘납부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고지조회’ 메뉴로 넘어간다.납부하기 버튼을 통해 다음 페이지로 넘어오면 자동으로 자신이 내야 할 세금 내역이 나타난다.나는 다른 세금은 없고 주민세만 내면 되는 것 같다.검색결과 : 1건 / 금액 : 6,000원 이라고 나온다.납부내역에 이상이 없으면 검색결과 납부 버튼을 클릭한다.처음 나타나는 화면은 기본적으로 은행납부 화면이 나타난다.우리은행/국민은행/농협/산업은행/외환은행/신한은행/하나은행/씨티은행 등 국내 대부분의 은행들…
AUM (Assets Under Management)
※ AUM (Assets Under Management)AUM은 Assets Under Management의 약자이다. 말 그대로 관리중인 자산을 이야기한다.Assets Under Management는 크게 두 가지 요소로 변동하게 된다.1. 현재 보유중인 자산의 가치변동으로 인한 변동2. 신규 자산의 유입 혹은 유출에 따른 변동대부분의 자산운용사에서는 운용보수(Management Fee)와 성과보수(Performance Fee)를 수익원으로 하는데 운용보수는 AUM * 일정수수료율이 되기 때문에 AUM의 증가는 해당 자산운용사의 수익증가로까지 이어지게 된다.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2011년까지는 매분기 신고해야 합니다.
벌써 어느새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기간이 돌아왔다.뉴스에서 양도소득세를 1년에 한번만 내면 된다고 떠들어 대지만 그건 내년(2012년)부터 적용되는 이야기다.올해 2분기(3.1.~6.30.)에 해외주식 매도내역이 있다면 8월 말가지 양도소득세 신고, 납부를 해야한다.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는 양도일이 속하는 분기 말일부터 2월 이내에 양도소득과세표준 예정신고, 납부를 해야 한다.2011년 매도일자별 신고, 납부기한은 아래와 같다.2011년 3월 1일 ~ 6월 30일 : 2011년 8월 말까지2011년 7월 1일 ~ 9월 30일 : 2011년 11월 말까지2011년 10월 1일 ~ 12월 31일 : 2012년 2월 말까지 위 기간에 신고, 납부를 하지 않게 되면 무신고가산세 및 무납부가산세를 내야만 한다.해외주식에 해당하는 무신고가산세는 20%이고 무납부가산세는 1일당 0.03%이다.세금내는 것도 아까운데, 늦게 내면 가산세폭탄을 맞아야만 한다.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는 홈택스(http://www.hometax.go.kr)를 통하거나 세무서에 직접 방문하는 두 가지 방법으로 나뉜다. 크게…
인터넷으로 주민등록 이전하기(전입신고)
인터넷으로도 전입신고가 가능하다. 원래는 전입하는 곳의 동사무소에서 직접신고해야 했던 건데 이제는 인터넷으로도 신청이 가능하다. 주민등록 이전을 인터넷으로 하다니… 세상 참 좋아졌다. ^^* 민원24시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자주찾는민원서비스에 전입신고 아이콘이 있다. or 메뉴에서 ‘민원신청-생활민원일괄서비스‘로 들어가서 이사민원을 클릭하면 전입신고 신청란이 뜬다. 마지막으로 ‘선택한 민원 신청하기‘를 클릭하면 신청서 페이지로 넘어간다. 필요한 내역들을 쭈욱 넣어주면 된다. 마지막에 신청서를 제출한다고 전입신고가 끝나는 게 아니다. 해당 전입지에 만약 세대주가 따로 있다면 그 분이 확인을 해 주는 절차(세대주확인)가 필요하다. 세대주 확인 전에는 신청이 완료되지 않는다. [미접수]로 뜬다. 꼭!! 세대주의 확인이 필요하다. (세대주의 공인인증서 필요) 세대주가 전입사실을 확인해 주고 나면 화면이 아래와 같이 바뀐다. 처리상태가 ‘처리중‘으로 바뀐다. 동사무소에서 최종 확인이 끝나면 전입신고가 완료된다. 처리상태가 ‘처리완료‘로 바뀌었다. 세대주 확인 기준으로…
글로벌 경상수지 불균형의 확산정도를 알 수 있는 불균형 지표
불균형지표– OECD, Goldman Sachs, Blanchard 등이 경상수지 불균형(dispersion of current account)을 나타내는 지표.– “(각국의 |적자|+|흑자|)/세계GDP“로 정의됨.출처 : 한국은행(http://www.bok.or.kr)
자동차세(지방세) 인터넷에서 카드로 납부하기
매년 6월이면 집으로 고지서 한 장이 날라온다.내 차가 경차이기 때문에 1년에 한번 밖에 안날라 오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1년에 두 번 고지서를 받는다.항상 고지서가 날아오면 은행에 언제가야 하는 걱정부터 하곤 하지만 이제는 그런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자동차세도 인터넷에서 카드로 납부가 가능하니까!!심지어 일부 카드회사에서는 무이자 혜택까지 주고 있다. 세금 납부를 위해서는 위택스(http://www.wetax.go.kr)로 들어가야 한다.위택스 홈페이지를 통하면 직접 은행을 방문하지 않아도 인터넷을 통해 자동차세(지방세)를 조회, 납부 등을 할 수 있다.만약에 서울 시민이라면 위택스 말고 이택스(http://etax.seoul.go.kr)에서도 자동차세 납부가 가능하다.나는 위택스에 가입이 되어 있어서 바로 위택스로 접속했다.공인인증서 인증화면이다.위택스를 이용하려면 인터넷지로홈페이지(http://www.giro.or.kr)에 회원가입이 되어 있어야 한다.위택스에서 신고, 납부 가능한 세목들은 취득세(부동산), 면허등록세(등록분, 면허분), 지방소득세(특별징수, 종합소득세분, 양도소득세분, 법인세분, 종업원분), 주민세(재산분), 지역자원시설세, 레저세 등이 있다.로그인을 했다면 중간에 “납부하기”를 클릭한다.만약에 지방세를…
휘발유 최저가 주유소 찾는 사이트 오피넷
내가 다니는 주유소가 과연 가장 싼 주유소일까?가장 싼 주유소를 찾는 방법.그 해답은 오피넷(http://www.opinet.co.kr)에 있다.오피넷은 한국석유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사이트로 전국의 모든 주유소의 최근 가격정보를 알 수 있다.최근에는 안드로이드폰, 아이폰용 모바일 오피넷도 운영한다고 한다.앱스토에서 다운받으면 주변의 최저가 주유소를 쉽게 찾을 수 있다.나는 아직 스마트폰 유저가 아니므로(아직 스마트하지 못하므로.. T.T) 앱은 소개하지 않겠다.안드로이드폰 오피넷 직접설치용 프로그램 링크 : http://www.opinet.co.kr/apk_download/android_Opinet.zip기본적으로 ‘주유소찾기’-‘지역별 주유소’를 클릭하면 지역별로 주유소를 검색할 수 있다.자신이 찾고자 하는 지역을 선택한 후 ‘주유소찾기’를 클릭하면 해당지역에 있는 모든 주유소가 검색된다.내가 살고 있는 정릉4동을 선택 후 주유소를 찾아보았지만, 검색된 주유소가 없단다.이럴 경우 ‘주유소찾기’-‘인근주유소’를 클릭하면 먼저 지역을 선택하는 메뉴가 나온다.서울특별시, 성북구를 선택했더니 성북구 주변 지도로 지도 위치가 바뀐다.이 상태에서 ‘반경지정’을 누르면 ‘지도에서 마우스 드레그로 반경을 설정해…
개인신용정보 무료로 조회하는 곳 – 새희망 네트워크
많은 사람들이 개인신용정보를 무료로 확인해 보고 싶어한다.한국자산관리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새희망 네트워크“에서는 자신의 신용정보를 무료로 확인해 볼 수 있다.새희망 네트워크는 채무조정, 금융지원, 취업 및 복지지원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이다.홈페이지(http://www.hopenet.or.kr)에 처음들어가면 볼 수 있는 모습이다.가운데 중간쯤 보면 신용정보 조회라는 메뉴가 있다.그곳에 있는 바로가기 버튼을 클릭한다.바로가기 버튼을 클릭하면 간단하게 서비스이용절차에 대한 소개가 나온다.다음으로 신용정보 바로가기를 클릭한다.회원가입절차가 필요하다.한국자산관리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사이트인만큼, 안심하고 가입해도 된다.회원가입을 마치고 로그인을 하고나면 공인인증서 등록을 해야 한다.인증서등록 후에는 주민번호를 입력하고 공인인증을 받아 인증서확인절차를 받는다.인증서 확인절차가 끝나면 바로 개인신용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자신의 신용평점이 몇점인지, 해당평점은 몇등급에 해당하는 지 신용등급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그 외에도 카드정보, 대출정보, 연체정보, 보증정보, 조회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신용보고서 조회메뉴 외에도 상단메뉴를 자세히 보면 “신용변동내역조회”라는…